코로나로 집에서만 생활한 지 벌써 1년이나 지났는데 여러분들은 집에서 어떤 활동들을 하면서 지내고 계신가요?
저는 종강 후에 중국어 공부를 시작했어요.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들 간단하게 정리해볼게요.😁😁
오늘은 HSK3급에서 등장하는 문법입니다.
중국어는 시제나 수동 등에 따라 단어의 형태가 변화하지는 않아서 영어나 한글처럼 어법을 어렵게 보지는 않아도 되는 것 같아요.
하지만 그 대신 각종 어법들을 모두 단어를 통해 표현하기 때문에 외워야 하는 단어가 더 많아요.
모든 언어가 그렇듯 처음 기초 단어들을 외우고 마주하게 되는 어법이 가장 어려운 것 같아요.
중국어의 경우에는 어법적인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단어만 외워주면 된답니다!
참~~ 쉽죠? (죄송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품사 첫 번째 시간으로 명사, 대사, 동사, 조동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어의 품사>
품사는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 등에 따라 분류한 것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의 품사에는 명사, 대사, 동사, 조동사 등 13개의 품사가 있는데요,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명사
먼저 명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명칭, 시간, 장소를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1) 고유명사: (지명, 인명 등이 해당합니다.) 韩国, 上海
(2) 일반명사: 学生, 老师, 作业
(3) 방위사: 上, 上边, 下, 下边, 里, 外
장소와 위치를 표현할 때는 명사와 방위사를 같이 사용합니다.
: 일반명사+방위사 桌子上/下
명사가 고유명사인 경우에는 방위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명사의 수를 나타낼 때는 수사+양사+명사 순서대로 구성되며 명사 앞에 부사는 올 수 없습니다.
요일, 시간 날짜 등을 나타내는 시간 명사는 술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是를 생략해서 사용합니다.
2. 대사
대사는 구체적인 사람, 사물, 성질 등을 대신하여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한글이나 영어의 대명사를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1) 인칭 대사는 사람이나 사물을 대신해 가리키는 대사입니다.
我, 你, 您, 他, 她, 它, 我们, 你们, 他们, 她们, 它们
(2) 지시 대사는 사람이나 사물 등의 명칭을 대신 지정하여 말할 때 쓰는 대사입니다.
这个,这儿, 那, 那儿, 其他, 每, 这样, 这么, 那样, 那么
(3) 의문 대사는 의문을 표현하는 대사입니다.
哪, 哪儿, 什么, 怎么, 为什么, 几, 怎么样, 谁
대사는 복수 표시가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们을 붙여서 표현하며 她们은 여자만 있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당신(너)의 존중 표현인 您의 복수 표시는 你们으로 합니다.
의문 대사 谁에는 복수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양을 나타내는 '얼마나'는 두 가지로 표현되는데, 多少는 10 이상의 많은 수를 나타내며 几는 10 이하의 작은 수를 나타냅니다.
3. 동사
동사는 동작이나 행위, 변화 등을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1) 동작동사는 동작이나 행위를 나타냅니다.
听, 看, 吃, 喝, 去
- 알다: 认识(글자나 사람을 알다), 知道(어떠한 사실을 알다)
(2) 심리활동 동사는 말 그대로 심리상태를 표현합니다.
喜欢, 爱
(3) 관계 동사는 주어와 목적어를 연결하면서 그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叫, 是, 在
일반적으로 동사+목적어(명사/대사)의 형태로 구성되며 일부 동사의 경우는 목적어로 동사나 형용사가 올 수 있습니다.(开始, 觉得)
# 이합 동사는동사 두 개가 붙어서 쓰이는 경우(동사-목적어의 관계)이며, 이때에는 목적어가 따로 쓰이지 않습니다.
见面, 帮忙, 结婚, 毕业, 跳舞, 睡觉, 散步
만약 목적어를 사용할 경우 관형어나 개사의 형태로 나타냅니다.
정도 부사는 동사의 앞에 쓰일 수 없으나 특이적으로 심리활동 동사의 앞에서는 가능합니다.
동사를 중첩해서 사용하는 것은 '잠깐 해보다' 정도의 의미로 짧은 시간 동안 시도하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 X(一)Y / X了Y / XYXY / XY 一下 / XY 了 XY
이합 동사의 경우 동사만 중첩해서 사용합니다: AAB / A了AB
4. 조동사
동사 앞에서 동사를 돕는 단어를 말합니다.
(1) 바람을 나타냄: ~하고 싶다, ~할 것이다
(2) 가능/능력을 나타냄: ~할 수 있다
(3) 당위를 나타냄: ~해야 한다
(4) 허가를 나타냄: ~해도 된다
(5) 추측을 나타냄: ~할 것이다
주어+조동사+술어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조동사가 다른 품사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예시) ~하고 싶다, ~할 수 있다
想 : ~하고 싶다 (바람/심리적 욕구)
要 : ~하고 싶다, ~하려고 한다 (바람/심리적 욕구 + 강한 의지) / 곧~하려고 하다, 머지않아 ~할 것이다 (임박한 미래
会 : ~할 수 있다, ~할 줄 안다 (학습을 통한 능력) / ~할 것이다 (미래에 대한 추측과 짐작)
能 : ~할 수 있다 (능력이나 조건) / ~해도 된다 (허가 可以)
오늘은 명사부터 조동사까지를 정리했는데요, 내용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형용사부터 감탄사까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들 열공하세요!! 😆😆😆
유용하게 보셨다면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려요!!😍😍
'공부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화 사회의 특성과 구분 및 노인 연금제도 소개 (8) | 2021.03.16 |
---|---|
노화와 노인에 대한 관점과 개념(연령 구분) (1) | 2021.03.15 |
[중국어 기초문법] 중국어 부사 정리 (2) | 2021.01.31 |
[중국어 기초] HSK 3급 중국어 기초 문법 정리 (2) (1) | 202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