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부 story/공부 6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물질의 이동(확산, 삼투,포식작용)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거나 대사과정을 적절하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물질의 이동이 일어나는데요, 오늘은 여러 종류의 물질 이동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동 과정(Passive process) 농도 기울기 아래로 일어나는 물질의 이동은 평형에 다다를 때까지 계속됩니다. ATP(세포 에너지)는 필요하지 않으며 오직 운동에너지만 이용합니다. (1) 확산(Diffusion) ① 단순 확산(Simple diffusion) 형질 막을 가로질러 농도 경사에 따라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의 물질의 이동을 말합니다. 산소, 이산화탄소, 질소, 지방산, 스테로이드, 지용성 비타민(vit A, D, E, K), 물 등이 해당됩니다. ② 촉진 확산(Facilitated diffusion) 이온통로와 운반체의 도움으..

공부 story/공부 2021.01.27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유기화합물

1. 탄수화물 크기에 따라 3가지로 나눠지는데, 단당류와 이당류는 단순당, 다당류는 복합 탄수화물입니다. ① 단당류(monosaccharides) : 포도당, 리보스, 디옥시 리보스 등이 해당됩니다. : 포도당의 주된 기능은 화학 에너지의 공급원으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② 이당류(disaccharides) : 설탕(포도당+과당), 엿당(포도당+포도당), 젖당(포도당, 갈락토스) : 두 개의 단당류가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형태입니다. ③ 다당류(polysaccharides) : 글리코겐, 녹말, 셀룰로스 : 수십, 수백 개의 단당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인체의 주된 다당류는 글리코겐이며 간세포와 근육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 글리코겐은 몸의 에너지가 부족할 때 포도당으로 분해되고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을 ..

공부 story/공부 2021.01.26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무기화합물

1. 물 : 살아있는 체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많은 무기 화합물입니다. ① 물은 뛰어난 용매이다. : 용매는 용질(다른 물질)이 녹아있는 액체/기체를 말합니다. 친수성: 전기를 띠거나 극 공유결합을 포함한 분자로 물에 쉽게 녹는 성질입니다. 소수성: 무극 공유결합을 포함한 분자로 물에 잘 녹지 않는 성질입니다. ② 물은 화학반응에 참여한다. : 합성/분해 반응에 참여 EX) 가수분해: 큰 영양소 분자에 물분자를 첨가하여 분해하는 것입니다. ③ 열 흡수와 방출이 느리다. : 자신의 온도는 약간만 변하고 많은 양의 열을 흡수하고 방출합니다.(비열이 높음) : 체온 유지에 큰 역할을 합니다. ④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데 많은 양의 열이 필요하다. : 땀이 증발하면서 많은 양의 열을 가져갑니다.(냉각 효과..

공부 story/공부 2021.01.26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화학결합의 종류, 대사(화학반응)

저번 시간을 통해 우리 몸의 구성을 살펴봤는데요 오늘은 우리 몸의 여러 물질들이 어떻게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존재하는지, 어떤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온 결합 (+)(-) 서로 반대의 전하를 띤 이온들이 서로 당겨 결합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온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이 물과 같은 용매에 녹아있는 것을 '전해질'이라고 하는데요, 나트륨, 칼슘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전해질은 우리 몸에서 수분의 이동을 조절하거나 산-염기의 평형을 유지하고, 신경자극을 생산하는데 관여하기 때문에 전해질 불균형이 생길 시 우리 몸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공유결합 원자들이 서로 결합할 때 전자를 잃지도, 얻지도 않은 채로 서로 공유하며 결합한 형태입니다. 우리 몸..

공부 story/공부 2021.01.23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해부학 용어 알아보기

오늘은 해부학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해부학 자세부터 용어, 방향, 구분 순서대로 볼게요. 해부학에서는 특정한 기준을 갖고 인체 부분들을 표현합니다. 그 기준이 되는 자세를 '해부학 자세'라고 하는데요, - 사람은 관찰자를 마주 보고 서 있다. - 머리와 눈은 정면을 향하고 있으며 발은 바닥에 편평히 댄다. - 팔은 손바닥을 앞으로 한 채로 몸 옆에 둔다. 위의 자세를 기준으로 방향용어를 통해 각 부분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 머리는 어깨의 위에 있습니다. - 손은 배꼽보다 가쪽에 있습니다. - 발은 무릎보다 먼쪽에 있습니다. 이처럼 해부학에서는 인체용어와 방향 용어를 사용해 구조를 설명하는데, 방향 용어를 알았으니 다음으로 인체 각 부분을 나타내는 용어를 살펴보도록 하..

공부 story/공부 2021.01.22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인체 구성단계와 계통(기관계), 항상성

해부 생리 기초인 인체의 구성단계부터 정리해볼게요! 이 포스팅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다루고 앞으로 하나하나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해부학과 생리학이 각각 무엇인지 알아볼게요!! - 해부학(anatomy): 구조와 구조들의 관계 - 생리학(physiology): 인체 각 부분의 기능 쉽게 보면 인체 각 구조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 생리학, 그 구조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해부학입니다! 그럼 우리 몸을 구성하는 데에는 어떤 요소들이 있을까요? 가장 작은 원자부터 사람이라는 유기체까지 6단계로 나뉩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해요!! ① 화학적 수준(chemical level) 원자(atoms) => 분자(molecules) 가장 작은 단위인 물질 단위인 원자와 두 개 ..

공부 story/공부 2021.01.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