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 생리 기초인 인체의 구성단계부터 정리해볼게요!
이 포스팅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다루고
앞으로 하나하나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해부학과 생리학이 각각 무엇인지 알아볼게요!!
- 해부학(anatomy): 구조와 구조들의 관계
- 생리학(physiology): 인체 각 부분의 기능
쉽게 보면 인체 각 구조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 생리학,
그 구조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해부학입니다!
그럼 우리 몸을 구성하는 데에는 어떤 요소들이 있을까요?
가장 작은 원자부터 사람이라는 유기체까지 6단계로 나뉩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해요!!
① 화학적 수준(chemical level)
원자(atoms) => 분자(molecules)
가장 작은 단위인 물질 단위인 원자와
두 개 이상의 원자가 만드는 분자가 이에 해당합니다.
② 세포 수준(cellular level)
세포는 우리 몸에서 살아있는 가장 작은 단위이며,
세포에는 여러 세포소기관들이 있습니다.
③ 조직수준(tissue level)
조직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포와 물질의 집단이고,
우리 몸의 조직은 크게 4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상피조직(epithelial) / 결합조직(connective) / 근육조직(muscular) / 신경조직(nervous)
④ 기관수준(organ level)
기관은 모양이 구별되는 두 개 이상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관은 특수한 기능을 가집니다.
⑤ 계통수준(system level)
공통으로 기능하는 기관으로 이루어진 집단입니다.
흔히 '기관계'로 알려진 부분이기도 합니다!!
⑥ 유기체수준(organismal level)
이렇게 6가지로 구성된 우리 몸에서 공통적으로 기능하는 기관으로 구성된
계통을 크게 분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건데도 내용이 적지 않네요ㅠㅠ
각 계통을 구성하는 기관들과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앞으로
자세하게 다뤄보려고합니다.
인체의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 바로 항상성(homeostasis)인데요,
이는 인체 내의 환경이 안정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항상성은 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조절로 인체의 모든 구조에서 일어납니다.
수용기(자극 감지) => 조절 중추(평가) => 효과기(반응)
항상성 유지는 피드백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음성 피드백: 반응이 자극에 반대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
(혈압/혈당/체온 등)
2. 양성피드백: 반응이 자극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
(출산/배란/혈액응고 등)
노화도 항상성과 관련되어 있는데요, 나이가 들면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능력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노화'라고 합니다.
자, 이렇게 오늘은 해부생리학의 기초 부분을 다뤄보았는데요.
혹시 잘못된 내용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들 열공합시다!!!
유용하게 보셨다면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려요!!😍😍
'공부 story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물질의 이동(확산, 삼투,포식작용) (4) | 2021.01.27 |
---|---|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유기화합물 (6) | 2021.01.26 |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무기화합물 (0) | 2021.01.26 |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화학결합의 종류, 대사(화학반응) (0) | 2021.01.23 |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해부학 용어 알아보기 (0) | 2021.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