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story/공부

[해부생리학 요점정리] 화학결합의 종류, 대사(화학반응)

은여름 2021. 1. 23. 23:00
반응형

 

저번 시간을 통해 우리 몸의 구성을 살펴봤는데요

오늘은 우리 몸의 여러 물질들이 어떻게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존재하는지,

어떤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온 결합

(+)(-) 서로 반대의 전하를 띤 이온들이 서로 당겨 결합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온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이 물과 같은 용매에 녹아있는 것을 '전해질'이라고 하는데요,

나트륨, 칼슘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전해질은 우리 몸에서 수분의 이동을 조절하거나 산-염기의 평형을 유지하고,

신경자극을 생산하는데 관여하기 때문에 전해질 불균형이 생길 시

우리 몸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공유결합

원자들이 서로 결합할 때 전자를 잃지도, 얻지도 않은 채로 서로 공유하며 결합한 형태입니다.

우리 몸에서는 가장 흔하게 보이는 결합의 형태인데요,

공유결합 분자들은 녹아서 분해되지 않습니다.

(분자들이 물에 녹게 된다면 몸이 구성될 수가 없겠죠?)

 

두 원자의 당기는 힘이 다르게 되면 하나의 원자가 전자를 더 강하게 당기겠죠?

이렇게 되면 결합된 원자들에도 작은 극성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극 공유결합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물 분자(H2O)에서는 산소(O)가 수소(H) 보다 더 강하게 당기기 때문에,

산소는 상대적으로(-)를, 수소는(+)를 띠게 됩니다.

이 점을 참고하면서 다음으로 넘어가 볼까요?  

 

 

3. 수소결합

수소원자와 다른 원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극 공유결합을 의미합니다.

극 공유결합인만큼 전하를 띠는 정도가 약해서 결합의 강도가 약합니다.

하지만 물 분자 사이의 결합, 단백질 결합, DNA 결합 등

우리 몸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우리 몸은 이처럼 크게 3가지 결합들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각 구성요소들이 어떤 화학반응을 통해 기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볼까요?

 

몸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반응을 통틀어 '대사'라고 합니다.

그럼 '대사 촉진'이라는 말은 몸의 화학반응이 활발해진다는 걸 의미하겠죠?

 

 

1. 합성반응

두 개 이상의 원자나 이온, 분자가 결합하는 반응입니다.

우리 몸의 모든 합성반응을 통틀어 '합성 대사'라고 하는데,

이는 많이 들어보셨을 '동화작용'과 같은 의미입니다.

 

2. 분해 반응

분자가 분리되는 반응입니다 마찬가지로 모든 분해 반응을 통틀어

'분해 대사'라고 하며 이는 '이화 작용'과 같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분해 반응에서는 에너지 방출이 나타납니다.

 

3. 교환 반응

이름과 같이 교환, 즉 합성과 분해가 동시에 일어나는 반응입니다.

쉽게 예를 들어보자면 AB + CD => AD + BC

A와 B, C와 D는 각각 분해됨과 동시에 다시 합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가역 반응

일방적으로만 진행되는 화학반응과는 달리 각각 다른 조건에서 양방향 

모두로 진행이 가능한 반응입니다.

 

 

오늘은 우리 몸의 화학결합과 화학반응, 즉 대사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유용하게 보셨다면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