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story

[감염성 질환 시리즈] #4. DTP: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알아보기

은여름 2021. 2. 16. 15:12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가 예방접종에 해당하는 DTP백신으로 예방하는

질환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Diphteria 디프테리아

Tetanus 파상풍           

Pertussis 백일해        

 

 

 # 디프테리아 

디프테리아는 제1급 법정감염병에 해당하는 질환입니다.

Corynebacterium diphteriae라는 디프테리아 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며,

비말이나 접촉을 통해 감염됩니다.

 

병소 부위에서 검체를 채취해 세균 배양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생제와 대증요법을 통해 치료합니다.

 

디프테리아 균에 감염되면 2~5일의 잠복기를 지나

코, 목, 인두에 위막이 형성됩니다.(주로 인두에 침범)

이와 함께 발열, 인후통, 쉰 목소리, 연하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균이 생산한 독소가 혈류로 유입되면서 세포 내에서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며,

심근염, 급성 신괴사, 신경계 손상, 근육 마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 파상풍 

Clostridium tetani 파상풍 균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파상풍 균은 혐기성 세균(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존)이기 때문에 오염된 흙이나

동물의 분변으로부터 상처를 통해 감염됩니다.

 

상처부위의 균을 배양하거나 근전도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생제와 함께 파상풍 항체(면역 글로불린)를 통해 독소를 중화합니다.

 

파상풍 균에 감염되면 14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상처 부위에서

점차 증식하면서 신경독소를 분비합니다.

이 신경독소는 신경세포에 작용하여 근육의 이완을 억제하게 되고,

근육의 경직, 마비/강직을 일으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초기의 국소적인 근육 수축이 일어나며 점차 직, 턱 잠김,

연하곤란(근육 경직에 의해 유발), 전신 경련 등이 나타납니다.

 

 

 # 백일해 

Bordetella pertussis 균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백일해 균은 그람 음성균에 속하며 비말과 접촉을 통해 감염됩니다.

(인간이 유일한 숙주)

 

3~12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1~2주간의 콧물, 기침, 발열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후 2~4주간 발작적으로 호기성 기침과 함께 '흡'소리(whooping cough),

이후 1~2주간 기침이 더 지속됩니다.

 

백일해는 많은 합병증을 유발하는데 기관지 폐렴, 두개 내 출혈, 비출혈, 뇌출혈, 탈장 등이

나타납니다. (발작적인 기침으로 인해 압력이 높아지면서 발생하는 증상)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는 소아기에 예방접종이 시행되어 대부분의 경우

예방이 가능하지만 파상풍의 경우 10년 마다 재접종이 권유됩니다.

주기적으로 마지막 접종 시기를 확인하셔서 꾸준한 예방을 하도록 해요!!

 

 

유용하게 보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