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두번째 피임법인 차단피임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차단피임법은 정자가 자궁에 침입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는 방법으로, 콘돔이나 캡 등이 사용됩니다.
성병에 대한 보호 효과가 알려져 점차 이용이 증가되고 있답니다.
1. 살정제
일종의 화학적 차단법으로, 정자의 세포막 투과성을 높여 세포막을 파괴시킴으로써 살정작용을 일으킵니다.
크림, 젤 등 여러 형태가 있으며 국내에서는 좌약 형태의 살정제가 이용됩니다.
좌약이 완전히 녹는데 10-15 분이 소요되고 완전히 녹았을 때 피임 효과가 높아지므로 성교하기 10분 이전에 넣어야 합니다.
성교 한시간 이상 전에 넣을 경우 효과가 떨어지며, 성교 후 외음부를 세척하는 것은 괜찮지만 질 세척은 8시간 이상 경과해야 한다.
단점 | - 성교 시 마다 매번 살정제를 다시 삽입해야 함 - 하루에 여러 차례 사용하게 되면 질 벽을 손상시켜 HIV전염 촉진 - 알레르기 반응 나타날 수 있음 - 곰팡이성 질염이나 요로감염의 위험 증가 - 단독 사용 시, 실패율 26% |
2. 남성용 콘돔
라텍스 콘돔이 에이즈를 비롯한 각종 성병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최근에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콘돔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음경이 발기한 뒤 음경 끝에서부터 콘돔을 말아 올리고, 콘돔 끝을 2 cm 정도 손으로 잡아당겨 사정액을 위한 여분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정 후에는 헐거워져 정액이 새어 나올 위험이 있으므로 곧바로 콘돔의 입구 테두리 부분을 손으로 잡고 제거하여야 합니다.
장점 | - 각종 성병균을 차단 - 불임, 바이러스성 간염, 자궁경부 이형성증, 염증성 질환 등 합병증 예방 - 쉽게 구할 수 있고 저렴함 - 사용법이 간단함 - 실패율 3~14% |
단점 | - 성교 직전에 사용해야 하므로 성욕 감소가 일어날 수 있음 - 남성 주도적인 방법으로 남성이 거부하면 이용이 어려움 |
3. 여성용 콘돔
여성용 콘돔은 원통형의 폴리우레탄 덮개이며, 수용성 윤활액으로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여성용 피임법으로는 최초로 HIV 및 성병에 대한 차단 효과가 검증되었고, 여성의 외음부까지 덮을 수 있어 성병 차단효과가 더 우수하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장점 | - 여성 주도적 사용이 가능 - 성병 차단 효과가 우수함 - 성교 전에 삽입하여 흐름을 깨지 않음 |
단점 | - 남성용 콘돔에 비해 2~3배 비싼 가격 - 국내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아 구입이 어려움 - 사용법이 복잡함 - 실패율 20% |
4. 다이아프램(Diaphragm)
다이아프램은 질 내에 위치하여 자궁 경부를 덮을 수 있도록 개발된 라텍스 컵입니다.
자궁경부 캡은 미국보다 유럽에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다이아프램보다 자궁 경부에 딱 맞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성교 전에 미리 삽입해둘 수 있으나 삽입 후 6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고, 성교 후에는 6시간 정도는 제자리에 두어야 안전합니다. 삽입 시에는 링의 가장자리에 살정제를 바른 뒤, 엄지와 검지로 양끝을 눌러서 깊숙이 밀어 넣습니다.
사용 후에는 비누를 사용하여 물로 씻고 건조시킨 뒤에 보관합니다.
자궁경부 캡의 경우에는 질 내에 48시간까지 두어도 무방합니다.
단점 | - 의사의 진찰로 적절한 크기를 처방받아야 함 - 자연 분만이나 수술, 체중변화가 있을 경우 크기 재측정 필요 - 실패율 20~40% |
오늘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은 호르몬 피임법으로 이어집니다!
'건강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란기를 이용한 자연피임법에 대해 알아보자 (배란일 계산) (2) | 2021.10.11 |
---|---|
[감염성 질환 시리즈] #9. 인플루엔자: 감기와 독감의 차이점 (타미플루 알아보기) (0) | 2021.03.02 |
[감염성 질환 시리즈] #8. 척수성 소아마비(급성 회백수염) 알아보기, 뇌성마비 비교 (2) | 2021.02.23 |
[감염성 질환 시리즈] #7. 수두 원인, 증상, 예방접종 알아보기 (대상포진은 무엇인가) (2) | 2021.02.22 |
[감염성 질환 시리즈] #6. MMR: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홍역, 풍진 알아보기 (0) | 2021.02.21 |